2월 25일 남북이 철도, 도로 관련 자료를 주고 받았습니다. 우리는 ‘경의선·동해선 철도 현지 공동조사 결과보고서’를, 북한에서는 철도 관련 자료(개성-신의주 구간 철길자료 등 2종)와 도로 관련(평양-개성 고속도로 공동조사 보고서와 도로설계 기준방안 등 6종)자료를 주고 받았습니다. 향후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를 위한 귀중한 자료입니다. 베트남 하노이에서는 북미 정상회담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한 핵에 대한 처리방법과 경제제제, 남북 경협 등의 방향성이 결정되겠지요. 관련해서 작년 2월에 출간된 책이 생각이 나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남북정상회담이 추진되기 전에 출간이 되었는데요, 그 혜안이 참으로 놀랍습니다. 지미카터 대통령의 방북을 성사시키기도 했던, 미국 조지아대 명예교수인 박한식 교수님께서..
제. 목 : 축적의 시간 지은이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출판사 : 지식노마드 출간일 : 2015.11.(확인 후 수정 예정) 소개 글을 열심히 써두고는 파일을 찾지 못했습니다. 기억나는대로 적어두고 파일 찾으면 수정할께요. 이 책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이정동 교수님께서 공과대학의 26분 교수님께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한 길을 1:1 대담을 통해 듣고 정리한 책입니다. 요약해 보자면, 현재까지 우리 산업은 선진국에서 만들어논 개념설계를 빨리 모방하여 개량하는 모방 추격형 성장을 추구해왔습니다. 하지만, 가치사슬의 상위 개념인 ‘개념설계’ 역량을 포기한다면 일자리의 질은 떨어지고 산업은 후퇴할 수밖에 없습니다. 창의적인 개념설계 역량을 확보하는 방법은 시행착오를 전제로한 도전과 실패의 경험을 축..
2018년 10월 31일 국토교통부에서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18~’22)에서 “Smart Construction 2025”을 비전으로 ‘BIM, AI를 적용한 건설자동화 기술개발”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안)”을 의안보고 하였습니다. 발주처는 선도적인 기술 적용보다 검증된 기술을 선호하고, 대기업에서는 하도급을 통한 저가시공, 전문건설사는 비용부담과 인재부족으로 기술개발 부진, 교육기관에서는 전통 기술교육에 매달려 있는 현실에서 스마트 건설은 요원해 보였습니다. 하지만,국토교통부에서 로드맵을 제안의 후속 조치로, 오늘(2/25) 대형공사(총연장 3km이상의 터널 및 특수교량, 연면적 3만평방미터 이상 대형시설물) 뿐만 아니라, 공사 및 시설규모가 작아 종합심사낙찰제나 적격심사제로만 ..